(엑스포츠뉴스 김정현 기자) 프로축구 K리그1 광주FC가 부실 재정으로 한국프로축구연맹 재무위원회로부터 상벌위원회 회부 가능성이 제기되자 사과문을 올렸다.
이번 한 달에만 두 차례 사과문이다.
광주가 29일 공식 채널을 통해 최근 불거진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재정 건전화 규정 미준수로 인한 상벌위원회 회부 가능성과 관련해 사과문을 게재했다.
광주는 이달 불거진 국제축구연맹(FIFA)의 이적시장 징계와 관련한 아사니의 영입 당시 연대기여금 미납 사태로 물의를 빚어 사과문을 올린 데 이어 한 달 안에 두 차례나 사과문을 게시하는 촌극을 빚었다.
광주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재정 건전화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데 대해 깊은 책임을 통감하며, 축구를 사랑해 주시는 팬 여러분과 관계기관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고 밝혔다.
이어 "구단은 2024년 재정 운영 결과 약 23억 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하여 지출이 수입을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는 재정 건전화 제도(손익분기점 지표)를 준수하지 못하였습니다"라며 "이는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진출에 따라 수반되는 선수단 규모 확대와 인건비 상승 등 필수적인 지출이 증가한 반면, 이에 상응하는 수입이 부족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광주는 또 "구단은 그동안 선수단 성적과 함께 광주광역시 지원, 입장 수익, 상품 판매, 이적료 등의 수입이 2023년 약 150억 원에서 2024년 약 214억 원으로 1년간 64억원이 증가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정 건전화 제도를 준수하지 못하였습니다"라며 "이러한 결과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으며 구단을 사랑해 주시는 시민과 팬 여러분께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고 거듭 고개를 숙였다.
광주는 나아가 "2025년부터 재정 건전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불요불급한 예산 절감과 자체 수입 확대를 통해 더 이상의 채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정 건전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채무도 연차별로 상환해 나가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라며 "다시 한번 모든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리며, 팬 여러분께 부끄럽지 않은 책임 있는 구단으로 거듭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고 전했다.
연맹은 2023년 재정 건전화 제도를 마련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각 구단이 현실성 있는 예산안을 제출했는지 확인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구단 운영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든 셈이다.
모기업, 지자체에 의존하는 구단 수익 구조에 변화를 괴하다는 게 제도의 취지이며 구단 운영비 중 선수단 비용이 과다 지출되는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려는 목적도 있다.
연맹 재무위원회는 지난 27일 K리그1, 2, 26개 구단의 수입 및 지출을 검토한 뒤, 손익분기점 지표를 달성하지 못한 광주에 상벌위원회 회부 등 조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광주는 지난 2024시즌에도 현실성이 떨어지는 구단 예산 제출로 재무위로부터 지적을 받았고 연맹이 광주에 '선수 추가 영입 금지' 제재를 받아 지난해 여름 이적시장에 선수 영입을 하지 못했다.
연맹 관계자는 "현재 법무팀에서 상벌위 회부를 검토하는 단계다. 지난해 재무제표를 보면 광주의 손실이 컸다. 지난해는 제재였지만, 이번에는 징계를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라면서 "광주 사례가 처음이기 때문에 급하게 진행하기보다 상벌위원들에게도 상황을 이해시키고 다각도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한국프로축구연맹, 광주
김정현 기자 sbjhk8031@xports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