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18 00:42
사회

[수다메리까!] 카시야스? 까시야스!…멋진 스페인어 발음법

기사입력 2010.11.24 14:38 / 기사수정 2010.11.24 14:44

윤인섭 기자
[엑스포츠뉴스=윤인섭 기자의 수다메리까!] - 남미문화기행


 
[엑스포츠뉴스=윤인섭 기자] 스페인 어가 매력적인 이유는 여럿 있지만, 기자가 꼽고 싶은 이유 한 가지는 한국인이 발음하기에 너무나 편안하다는 매력이다.

일례로, 기자가 아르헨티나에서 잠시 어학당을 드나들 때, 스페인 어 발음이 가장 어색했던 친구들은 대다수 한국인에게 선망의 대상인 영어권 친구들이었다.
 
그 이유를 쉽게 말하자면, 스페인 어는 영어처럼 혀를 꼬부려서 내는 언어가 아닌, 우리말처럼 혀를 곧게 펴서 내는 말이기 때문이다.

또한, 된소리(ㄲ,ㄸ,ㅃ)를 지양하고 거센소리(ㅋ,ㅌ,ㅍ)로 발음해야 하는 영어와 반대로, 스페인 어는 모든 거센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한다는 원칙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말하자면, 된소리 발음은 스페인 어 외에 포르투갈어, 이탈리아 어, 프랑스 어 등 로망스 어계에서 공통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한국인이 발음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주는 것은, 스페인 어 알파벳에는 영어와 달리 발음기호가 없다는 것이다. 즉, 스페인 어로 쓰인 알파벳은 한글처럼 소리 나는 대로 읽으면 된다. 사실, 포르투갈어, 이탈리아 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등 대다수 유럽 언어도 발음기호는 없다.
 
단, 몇 가지 주의사항은 있다. C, G, Q 다음에 e, i가 올 경우 묵음이 되는 U를 제외한 모든 발음은 A(ㅏ),E(ㅔ),I(ㅣ),O(ㅗ)의 발음법칙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몇몇 자음이 영어식 알파벳과 발음이 다른 관계로 알아둘 필요가 있다.
 
마지막이자 가장 핵심적으로 스페인 어의 악센트 법칙만 정복하면, 본토 사람 못지않은 스페인 어 발음을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전혀 어렵지 않다. 단 두 가지의 예외를 제외하고 모든 스페인 어 단어는 모음으로 끝나면 끝에서 두 번째 모음에, 자음으로 끝나면 마지막 모음에 강세를 준다.
 
그 두 가지 예외는 á, é, í, ó, ú처럼 특별히 악센트 기호가 붙거나, 끝이 n, s의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이다. 후자는 끝에서 두 번째 모음에 강세를 준다.
 
자, 그럼 유창한 스페인 어 발음의 완성을 위해 주의해야 할 스페인 어 알파벳에 대해 알아보겠다.
 
자음 C, G, H, J, LL, Q, Z와 모음 U에 대해서만 알아두면 끝이다. 모음 U는 자음을 설명할 때 같이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다음의 고유명사는 발음 설명 상, 현지 발음에 맞게 표기한다는 양해를 구하겠다.   
 
1. C: C의 경우 Ce, Ci는 '쎄', '씨'로 발음한다. 나머지는 ㄲ발음을 하는 데 문제가 되는 게   께, 끼 발음을 할 때다. 그 발음을 위해 u가 묵음이 되어 Cue는 '께'로, Cui는 '끼'로 발음한다. 그리고 간혹 Cüe, Cüi로 시작되는 형태가 보이는데 이 경우는 '꾸에', '꾸이'로 발음한다. 즉, 전직 파라과이 대표팀 스트라이커 Nelson Cuevas는 넬손 꾸에바스가 아닌, 넬손 께바스로 발음하는 것이 옳다.
 
2. G: G의 Ge, Gi는 '헤', '히'로 발음한다. 나머지는 ㄱ발음을 하고, gue는 '게'로, gui는 '기'로 발음한다. 역시, Güe, Güi는 각각 '구에', '구이'로 발음한다. 마치 Sergio Agüero를 세르히오 아구에로라 하는 것처럼 말이다. 반면, 체 게바라는 Che Guevara로 쓴다.
 
3. H: 영어에서 H는 ㅎ발음이지만, 스페인 어, 프랑스 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 어 등 로망스어 계에서 H는 묵음으로 모음 앞에 올 시, ㅇ발음이다. 그래서 Hernan Crespo를 '에르난 끄레스뽀'라 한다.
 
4. J: 스페인 어에서 J는 ㅎ발음이다. 그래서 Juan Román Riquelme를 '후안 로만 리껠메'라 하는 데 로만의 a에 악센트를 붙여서 발음해준다.
 
5. LL: 바로 이 자음 때문에 표준 스페인 어 아메리카 지역의 사투리가 갈린다. 우선, 사투리는 뒤에서 설명하고 여기선 표준 스페인 어 발음으로 얘기하겠다. 간단하다. 자음 Y와 같은 발음이다. 예) Iker Casillas 이께르 까시야스   
 
6. Q: Que, Qui는 께, 끼로 발음하고 Qüe는 꾸에, Qüi는 꾸이로 발음한다는 것만 유의하면 된다.
 
7. Z: 스페인어에서 Z는 ㅎ으로 발음한다. 그래서 Carlos Tevez가 까를로스 떼베'즈'가 아닌 까를로스 떼베'쓰'가 되는 것이다.  
 
이상만 숙지한다면, 스페인 사람과 별 차이 나지 않는 본토 스페인 어 발음을 확실히 해낼 수 있다. 단, 스페인 어 사용 지역은 매우 광대하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그래서 지역별 사투리의 발음 차이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문법이 아닌 발음 차이이기에 매우 간단하다.
 
-까시야스, 까실랴스, 까시쟈스, 까시샤스-.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스페인 대표팀의 주전 골키퍼, 카시야스를 스페인에서는 까시야스, 중남미에서는 까실랴스, 파라과이에서는 까시쟈스, 아르헨티나에서는 까시샤스로 발음한다. 즉, 지역별 발음 차이의 관건은 Y, 그리고 Y와 같은 발음을 내는 LL에 있다. 단, 중남미 표준 사투리와 아르헨티나 사투리에서 Y와 LL은 미묘한 발음차이가 있다.
 
1. 스페인어 표준어: Y, LL모두 '야'.'예','요','유'로 발음한다.

2. 중남미 표준어: Y는 스페인과 발음이 다르지 않으나 LL은 '-ㄹ랴', '-ㄹ례' 등으로 발음한다.

3.  파라과이 방언(사용지역: 아르헨티나 북부와 파라과이 전역, 그리고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일부): Y, LL 모두 '쟈', '졔', '죠', '쥬'로 발음한다. 스페인 어에서 유일하게 ㅈ발음이 나는 지역이다. 예를 들어, 스페인에서 활약 중인 파라과이 대표팀 주전 골키퍼 Justo Villar(바야돌리드)를 스페인에서는 '후스또 비야르'라 하고 파라과이에서는 '후스또 비쟈르'라고 한다.

4.  리플라타 방언
-1) 아르헨티나: LL은 '샤', '셰' 등으로 발음하나 Y는 '쟈', '졔'로 발음한다. 그리하여 우리에게 '가야르도'라 알려진 전 아르헨티나 대표, Marcelo Gallardo를 아르헨티나에서는 마르쎌로 가샤르도라 한다. 또한, 아르헨티나의 전설적 수비수, Roberto Ayala의 경우는 로베르또 아쟐라라고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젊은 층 사이에서는 Y발음까지 '샤', '셰', '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2) 우루과이: 우루과이는 Y까지 '샤', '셰', '쇼'로 발음한다.      

[사진=이케르 카시야스 (C) Gettyimages/멀티비츠]

  
 


윤인섭 기자 press@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