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14 04:43
스포츠

평창동계올림픽, 국민 화합과 사회 통합의 장으로

기사입력 2017.12.22 14:45

황성운 기자


[엑스포츠뉴스 황성운 기자]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대회(이하 평창올림픽)가 사회 통합적 올림픽으로 치러진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강원도, 8 평창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 등 관계 기관과 합동으로 22일 '사회 통합적 평창올림픽 유산 창출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사회적 소외계층과 지역주민 등 전 국민이 참여하는 평창 올림픽 개최를 통해 사회 통합이라는 대회 유산을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문체부 등 관계 기관 특별전담팀(TF)을 구성해 공감과 치유, 상생과 협력, 지역 혁신, 평화와 화합 등 4개의 핵심 추진 전략과 21개 세부 과제를 도출했다.

▲공감과 치유: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올림픽 개최

정부는 장애인, 저소득층 등 사회적 소외계층과 지역 주민이 함께하는 올림픽을 추진한다. 자원봉사자와 성화 봉송 주자에 사회적 소외계층을 참여시키고, 공공기관‧기업의 사회 공헌 사업과 지자체 예산을 활용해 다양한 경기 관람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 평창 올림픽을 국민들의 사회 통합 인식을 높이는 기회로 활용한다. 아울러 소외 계층 및 대회 참여 인력의 경력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상생과 협력: 올림픽을 계기로 한 사회적 경제 및 지역 경제 활성화

정부는 평창올림픽과 사회적 경제 및 지역 경제 간의 연계를 적극 추진한다. 대회 준비와 운영 과정에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과 지역음식(로컬푸드)을 활용하고, 사회적경제기업이 대회 라이선싱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후원(스폰서) 기업과 협조해 사회적 경제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지역혁신: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기반 조성

정부는 올림픽을 계기로 지역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대회시설 사후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을 통해 대회시설 사후 활용 일자리를 발굴할 계획이다. 조직위는 대회 후원사 중 사회공헌사업을 실시한 기업에 대해 '지속가능파트너'로 선정해 지속적인 사회 공헌을 유도한다.

올림픽을 통한 지역관광을 활성화해 지속 가능한 관광유산도 창출한다.

▲평화와 화합: 평화 증진과 인류 화합의 올림픽 정신 구현

평화와 화합이라는 올림픽 정신 구현을 위해 대회 출전국 선수단과 지자체 결연을 통해 경기응원 등 응원단 활동을 추진하고, 북한이 참가하는 평화올림픽 개최를 위해 국제기구와 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jabongdo@xportsnews.com



황성운 기자 jabongdo@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