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츠뉴스 김정현 기자)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 후보가 공약한 2031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유치에 많은 경쟁자들이 몰리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중앙아시아 3국이 공동 개최로 유치를 신청했다.
우즈베키스탄축구협회(이하 우즈베크협회)가 24일(한국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공화국이 아시아축구연맹(AFC)에 2031 아시안컵 공동 개최 유치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우즈베크협회는 "AFC가 아시아 대륙에서 가장 권위 있는 축구 대회인 아시안컵의 2031년 대회 개최지 후보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최근 중앙아시아의 재편을 이끌기 위해 조건이 만들어졌고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공화국 축구협회들이 공동으로 유치 후보로 나서 가장 높은 수준의 아시안컵 개최의 자신감을 드러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늘, 이웃 국가들과 함께 우즈베키스탄은 권위 있는 대회의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타슈켄트, 나망간, 페르가나, 카르시와 같은 도시의 경기장이 국제 기준에 맞춰 재정비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 몇 년간 AFC U-20, U-23 아시안컵, 국제축구연맹(FIFA) 풋살 월드컵 개최로 엄청난 경험이 될 것"이라며 최근 많은 국제대회 개최 경험을 강조했다.
협회는 나아가 "항상 그랬듯, 중앙아시아는 환대와 프로페셔널한 접근 축구에 대한 헌신, 당연하게도 축구를 사랑하는 팬들의 친절함으로 아시아 전체의 관심을 얻는데 목말라 있다"라며 아시안컵 유치에 대한 열망을 숨기지 않았다.
지난 1956년 홍콩에서 시작된 아시안컵은 한국에서 2회 대회가 열린 것을 비롯해 중동, 동남아시아, 그리고 새로 편입된 호주가 2015년 대회를 개최한 바 있지만, 중앙아시아 지역은 단 한 번도 이 대회를 개최한 적이 없다. 다음 대회가 열리는 2027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된다.
우즈베키스탄은 최근 들어 연령별 아시안컵 개최를 통해 국제 대회 개최 경험을 쌓았고 연령별 대표팀의 성장세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U-23 아시안컵에서 우즈베키스탄이 사상 첫 올림픽 본선 티켓을 따내기도 했다.
다만 우즈베키스탄은 단독 개최가 아닌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과 공동 개최로 노선을 틀었다. 현재 많은 국가들이 2031년 대회 유치를 신청했기 때문이다.
앞서 21일엔 아랍에미리트(UAE) 축구협회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는 2031 아시안컵 개최를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며 "아시아 대륙에서 가장 큰 토너먼트를 개최하기 위한 모든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통합 자료를 준비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곧 발표될 예정"이라고 알렸다.
이어 "UAE는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월드컵, 청소년 및 주니어 월드컵, 기타 주요 스포츠 행사 등 다양한 국제 스포츠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며 "UAE가 주최하는 모든 스포츠 대회는 참가자들 기억 속에 영원히 남을 것이며, 멋진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특별한 대회가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또한 "2031 아시안컵을 눈부시고 독특하게 만들 수 있다고 확신한다. UAE 국민 모두 모든 스포츠 행사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민족의 문화로 스포츠 행사를 풍성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쿠웨이트, 인도네시아가 2031 아시안컵 유치를 선언한 상황이다.
아울러 한국도 이 대회 개최 작전에 뛰어들 수 있다. 제55대 대한축구협회장 선거에 출마 중인 정몽규 전 회장의 공약 중 하나가 대한민국의 2031 아시안컵 유치였기 때문이다.
당시 정 회장은 아시안컵 유치 가능성에 대해 "굉장히 높은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번에 카타르, 사우디에서 많은 지원을 했고, 한국, 중국, 일본이 대상이 될 수 있다. 인도네시아도 관심을 표명했지만 한국이 가장 좋은 후보가 아닌가 생각한다"며 "중국은 여러 사건 때문에 개최를 못 했고, 일본도 아직 관심을 두지 않는다. 한국이 조금만 AFC에 지원하면 가능할 거라고 본다"고 나름의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자금력이 탄탄한 UAE와 쿠웨이트는 물론 인도네시아, 공동 개최로 무장한 중앙아시아 3국의 등장으로 한국 유치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축구 실력으론 개최에 부족함이 없지만 항상 명분, 축구외교, 아시아 국가들을 설득할 당근책이 부족했던 한국이 이번엔 성사시킬 수 있을지 궁금하게 됐다.
오는 26일 대한축구협회장 선거에서 정몽규 회장의 4선 여부가 판가름난 뒤 한국도 2031년 아시안컵 유치에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UAE, 중앙아시아축구연맹
김정현 기자 sbjhk8031@xports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