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17 07:49
연예

[종합] '방구석1열' 천재 예술가의 삶…'러빙 빈센트'·'아마데우스'

기사입력 2018.11.16 19:30 / 기사수정 2018.11.16 20:20


[엑스포츠뉴스 김현정 기자] '방구석 1열'이 빈센트 반 고흐와 모차르트를 조명했다.

16일 방송된 JTBC ‘방구석1열’에는 천재 예술가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러빙 빈센트’와‘아마데우스’를 다뤘다. 지휘자 겸 음악 감독으로 활동하는 서희태와 미술 분야 팟캐스트에서 3년째 부동의 1위를 지키는 조원재 작가, 인문학 전문가 진중권 교수가 출연했다. 

도로타 코비엘라 감독의 첫 장편 영화인 '러빙 빈센트'는 세계 최초 유화 애니메이션 영화로 빈센트 반 고흐의 죽음을 둘러싼 이야기다. 다양한 직업군의 125명의 화가가 고흐 특유의 필치를 훈련 받아 6만 5천장을 그렸다. 로토스코프 기법을 이용해 촬영했다.

변영주 감독은 "빈센트 반 고흐라는 요절한 화가를 존경하고 추모하며 오랜기간 수작업으로 만든 영화다. 지금을 사는 후배들의 존경의 영화다"라고 밝혔다. 윤종신은 "이 영화 기획자에게 상을 줘야 한다. 10년 걸려 만들었다"고 곁들였다.

조원재 작가는 "고흐를 싫어할 사람은 없는 것 같다. 작가와 작품이 강렬한 시너지를 내는 화가다. 보통 미술 작품을 만나면 미술 작품을 기억하지 작가를 기억하진 않는다. 이 사람의 삶 자체가 굉장히 드라마틱해 동정과 연민을 부른다. 28살에 미술을 시작했다. 그림 판매상, 교사, 선교사 등 이것저것 하다가 잘 안 돼 화가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장성규 아나운서는 "나도 28살에 아나운서에 도전했다"고 언급했다. 변영주 감독은 "지금쯤 걸작을 내놓아야 하지 않냐"고 물었다. 윤종신은 "그래서 '아는 형님'이다"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서희태 지휘자는 "진정한 예술가로 사는 건 저렇게 힘든 일이구나 싶다. 자기만의 스타일을 갖고 있는 집단은 서로 섞이기 힘들다. 자기 주장이 너무 강하니까 예술가들이 사이가 좋기 힘들다. 이 영화에서도 고흐가 스타일일 추구하다보니 외로움을 느꼈을 거다. 공감이 많이 됐는데 그렇게 살고 싶지 않다. 무섭다"며 웃었다. 

변영주 감독은 "한국에서 사랑을 받았다. 안시국제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관객상을 받았고 개봉 하루만에 1만 명을 모았다. 독립영화에서 40만의 관객이 봤다는 건 이렇게 잘 된 영화가 흔치 않다"고 말했다.

'아마데우스'는 왕실의 궁정 음악가 살리에리와 천재 작곡가 모차르트의 대조적 삶을 다룬 영화다. 변 감독은 "밀로스 포만 감독을 세계적 반열에 오르게 했다. 모차르트와 살리에리의 이야기를 담은, 요절한 천재 예술가의 이야기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변영주 감독은 "1985년에 아카데미에서 8개의 상을 받았다. 밀로스 포만은 체코 감독인데 미국으로 망명을 갔다. 재밌는 건 프라하에서 찍었다. 빈에서 찍는 것보다 더 쌌을 거다"고 말했다. 서희태는 "실제로 모차르트가 프라하에서 많이 활동했다"고 설명했다.

윤종신은 "클래식하는 분들은 아무런 악기 없이 머리 속으로만 하는데 난 그렇게 못한다. 모차르트의 곡을 들어보면 휘갈기듯 나온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서희태는 정신적으로 힘들 때 만든 '밤의 여왕 아리아'에 대해 "그 당시로는 센세이셔널 했던 음악이다"라고 감탄했다.

조원재는 모차르트 역을 맡은 톰 헐스의 경박한 웃음소리를 언급했다. 서희태는 "금속으로 유리를 긁는 듯한 웃음소리였다는 기록도 있다. 그 장면 때문에 뇌리에 박힌다. 인상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적으로 이 영화의의 진정한 주인공은 살리에리가 아닌가 한다. 머레이 아브라함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받기도 했고 마지막 장면에 모차르트가 죽어가며 레퀴엠을 불러주는데 받아쓰는 모습에서 표정이 수시로 바뀐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모차르트와 살리에리가 나이차가 많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6살 차이다. 모차르트 하면 음악의 천재라는 말이 떠오른다. 3살 때 혼자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5살 때 작곡을 시작했다. 12살 때 오페라를 작곡했다. 626개의 작품을 만들었다. 모차르트의 아이큐는 230에서 250 정도가 됐을 거라고 한다. 안토니오 살리에리는 이탈리아 출신인데 오스트리아 빈의 궁정음악가였다. 이탈리아 사람이 우리나라 장관을 할 수 없지 않나. 살리에리는 엄청 유명한 사람이어서 가능한 거다. 40여곡의 오페라가 있다"고 이야기했다.

khj3330@xportsnews.com / 사진= JTBC 방송화면

김현정 기자 khj3330@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