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11 13:49

디트로이트 파산, 美 자동차 산업 3대 도시의 '몰락'

기사입력 2013.07.20 10:52 / 기사수정 2013.07.20 10:52



▲ 디트로이트 파산

[엑스포츠뉴스=이이진 기자] 미국 자동차 산업 3대 도시로 꼽혔던 디트로이트가 파산했다.

18일(현지시간) 디트로이트시는 이날 오후 미시간주 연방 법원에 미국 지방자치단체 역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보호(챕터9) 신청서를 접수했다.

릭 스나이더 미시간 주지사(공화)는 "디트로이트의 막대한 부채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 재정 위기 비상관리인 케븐 오어 변호사가 제안한 챕터9 파산보호 신청을 승인한다"고 밝혔다. 그는 "파산보호 신청 이외에 디트로이트 재정 위기를 극복할 방법이 없는 것이 자명하다. 현재로서 합리적인 대안은 이것뿐이다"라고 덧붙였다.

미 제조업의 상징이자 미 3위의 대도시였던 디트로이트의 장기 부채는 무려 180억 달러, 우리 돈으로 20조 8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릭 스나이더는 3월 디트로이트시의 장기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크라이슬러 파산보호 절차를 맡았던 오어 변호사를 비상관리인으로 선임했다.

오어 변호사는 예산 삭감, 자산 매각, 공무원 인력 구조조정 등을 추진하며 디트로이트 경제 회생을 시도했으나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오어 변호사는 이후 한 달에 걸쳐 채권단, 공무원 노조, 보험사, 연금기금 등과 손실 부담 규모를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를 끌어내지 못해 결국 파산 선언을 선택하게 됐다.

채권단은 오어 변호사의 계획에 강력히 반발했다. 특히 연금기금 단체 2곳은 "스나이더 주지사에게 오어 변호사의 파산 신청을 승인할 권한이 없다"며 주 법원에 소장을 제출한 상태다.

한때 미국 최대의 공업도시로 명성을 날렸던 디트로이트시는 자동차 산업이 쇠퇴하면서 1950년대 180만 명에 달했던 인구가 7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디트로이트시가 부채를 감당하기 위해 경찰과 교육 등 공공서비스 예산을 대폭 줄이면서 치안과 생활환경마저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렸다. 이에 놀란 중산층이 근처 오클랜드 카운티 등으로 대거 빠져나가면서 현재 도시 인구는 83%가 흑인이고 약 3분의 1이 극빈층이다.

대중문화부 press@xportsnews.com

[사진 = 디트로이트 파산 ⓒ 뉴스Y 방송화면]  

대중문화부 이이진 기자 press@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