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09 18:42
연예

음공협 "대중음악 공연, 차별적 지침으로 죽어가고 있다"[종합]

기사입력 2021.09.08 12:42


(엑스포츠뉴스 김미지 기자)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가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해 현재 산업의 상황과 대정부 요구를 전달했다.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이하 음공협)는 8일 오전 11시 '한국공연산업협회 코로나 긴급 기자회견'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날 음공협 측은 타 장르와의 차별적 지침 폐지, 바뀌지 않을 코로나19 방역 지침 제정, 지침에 따른 관계부처의 행정명령에 의해 취소된 경우 피해보상, 최소 거리두기 3단계에서 공연이 가능한 기준 마련, 백신 접종자의 대중음악 공연 관람을 위한 빠른 기준 마련, 무너진 대중음악 공연산업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안 제시 등 총 6가지 요구가 담긴 성명서를 발표했다.

음공협 측은 "지난해 11월까지 코로나19와 관련한 정부의 거리두기 지침에는 여타 공연 장르와는 달리 대중음악 공연은 언급 자체가 없었다"며 "각 지자체에서는 임의로 규정을 유권해석하여 공연장 대관 자체를 불허하거나 공연일에 임박하여 집합 금지명령을 내렸다"고 토로했다.

이에 지속적으로 차별 철폐와 명문화된 매뉴얼을 요구했으나, 지난해 11월 거리두기 개편안을 통해 돌아온 답변은 오히려 대중음악 공연을 특정해 불가 조항들을 추가했다며 "이는 '관객의 집단 가창과 함성 때문에 비말 전파 위험이 높을 것'이라는 방역 당국의 예단과 편견으로 빚어진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음공협 측은 길고 긴 어필 끝에 지난 6월, 차별 철폐를 겨우 받아냈으나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180도 다르게 변경됐다고 전했다.

특히 대중음악 공연을 제외한 뮤지컬, 클래식, 연극, 국악 등 모든 공연물과 대형 놀이시설, 워터파크, 백화점, 해수욕장, 미술관, 박물관, 전시회 등 다중이 이용하는 문화, 여가 시설은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일부의 조치가 있었으나 대중음악 공연에 대한 명확한 매뉴얼은 없었다며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또 음공협 측은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기준과 거리두기 방식이 상황에 따라 자주 변하고, 스스로가 발표한 그 기준조차 일부 여론에 따라 지키지 않으며 공연이 갑작스레 취소되는 결과가 지속적으로 초래해왔다"며 "별다른 기준 없이 여론에 따라 일희일비함은 물론 공연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공연 프로세스와 업계 전문가의 의견을 철저히 무시한 채 일방소통하고 있는 정부의 무지함에서 비롯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앙 정부를 통해 발표된 지침이 각 지자체 별 결정에 반드시 앞서기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중앙 정부를 통해 발표된 지침을 '각 지자체 판단에 따른다'는 말로 책임을 지자체에 넘겨 말도 안 되게 취소 명령을 받은 공연이 많았던 것.

특히 음공협 측은 "통계에 따르면 2020년의 대중음악 공연산업은 2019년에 비해 무려 90%의 매출 하락을 기록했다"며 산업 전반에 걸친 피해를 호소했다.

사진=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김미지 기자 am8191@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