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02 18:49
스포츠

[엑츠화보] 뜨거웠던 3일간의 KBO 기록강습회 현장을 가다

기사입력 2009.03.02 19:27 / 기사수정 2009.03.02 19:27

유진 기자

[엑스포츠뉴스=유진 기자] 야구는 흔히 기록경기라고 불린다. 

이에 따라 많은 야구팬들이 각 선수들의 ‘커리어 통산 500개 홈런’ 이라든지 ‘커리어 통산 200승’ 등 개인기록에 큰 관심을 드러낸다.

그러나 기록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는 야구팬들은 ‘이러한 상황에서는 에러일 것 같은데 왜 안타로 기록했을까? 혹시 기록원이 저 선수랑 친척인가?’라는 오해에서부터 시작하여 ‘A에게 세이브를 주어야 할 것 같은데 왜 기록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등 많은 궁금증을 가져봄직 하다.

이에 한국야구위원회(이하 KBO)에서는 야구팬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1일까지 건국대학교 새천년홀과 사회과학대 대강의실에서 기록강습회를 실시했다. 본 기록강습회에서는 현장 접수를 포함하여 강습회비를 납부한 인원이 260명에 달할 만큼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이에 본 기자도 3일간 그 현장속으로 들어가 보았다.



▲ ‘기록강습회가 이 곳에서 열린다’는 현수막을 설치하여 일반 팬들이 쉽게 강의실을 찾을 수 있도록 해 놓았다. KBO 기록강습회는 2월 27, 28일에는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서, 마지막날인 3월 1일에는 사회과학대 2층에서 열렸다.



▲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 설치한 ‘야구기록강습회’ 현수막. KBO 기록원들은 이러한 일련의 준비과정에 많은 시간을 쏟아부었다고 한다.



▲ 기록강습회에 앞서 야구 기록규칙 가이드와 공식기록양식지를 참가자 전원에게 제공했다.



▲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 모인 전국의 야구팬들이 기록강습회에 집중하고 있다. 첫째날과 둘째날에는 오리엔테이션을 포함하여 야구 기록 예시 등을 교육했다.



▲ 일부 야구팬들은 노트북을 가져와서 기록하는 등 열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 본 기록강습회에서는 73세 할아버지를 포함하여 초등학생들도 참석하여 ‘숫자에 불과한 나이’가 무엇인지를 실감하게 했다. 특히, 리틀야구단에서 활동중인 김지현(12, 사진 오른쪽)양은 친구 김진선 양과 함께 기록강습회 현장을 찾았다.

.



▲ 열정적으로 강의하고 있는 KBO 기록원. 승리/패전/세이브/홀드 요건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했다.



▲ 강의 끝에 질의/응답시간이 주어졌다. 특히, 군 복무중임에도 불구하고 휴가 내어 강습회에 참여한 한 야구팬은 기록원들도 당황하게 할 만큼 자세한 질문을 던져 주위를 깜짝 놀라게 했다.



▲ 윤병웅 KBO 기록실장이 팬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마지막 날까지 열정을 갖고 강의에 임한 야구팬들의 눈이 KBO 기록원들에게 집중됐다.



▲ 강의를 하지 않은 나머지 기록원들도 강의실 뒤쪽에 위치하여 시간을 함께 했다.



▲ 마지막날 오후 1시 부터는 ‘자유실기테스트’를 실시했다. 본 테스트는 실제로 기록지에 경기 기록을 작성해 보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따라서 14명의 기록원들이 돌아다니며 질문을 받고, 또 모르는 부분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해 주기도 했다.



▲ 3일간의 기록강습회에서는 많은 여성 야구팬들도 참여했다. 강습회에 참여한 한 여성팬이 자유실기테스트에 전념하는 모습이 눈에 띠었다.



▲ 김상현 기록원(양복정장, 사진의 가운데)의 강의 콘셉트는 ‘명쾌/호쾌’였다. 베테랑다운 그의 모습은 강의가 끝나고 나서도 계속되었다.

모든 일정은 3월 1일 오후 5시 30분에 끝났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 기록강습회를 통하여 많은 야구팬들이 ‘무언가를 얻어가는 것’에 있지 않나 싶다. 기자 역시 야구에 대해 알 듯 모를 듯했던 내용들, 특히 야구규칙 면에서 전혀 생각지 못한 내용들을 알게 되어 뜻깊기도 했다. 특히, 올 시즌 야구취재시 적어도 다른 기자들에 비해 ‘이 기록이 왜 이렇게 판정되었는지’를 그 누구보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뿌듯하기도 했다.

전년까지는 아무 이유 없이, 야구 그 자체를 보고 기사를 썼지만 올해부터는 조금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기록지를 옆에 두고 기록원들과 똑같이 기록해 본 다음, 취재 후에 기자들에게 주어지는 기록지와 비교를 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다만, 공식 기록지에 한자(漢字)가 가득하여 기록하는 데에 다소 어려운 점이 많았지만, 이를 통하여 야구를 보는 눈을 키울 수 있고 또 바둑처럼 복기를 할 수 있다면 이 자체가 역사가 아닐까 싶다.



유진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