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01 13:06
스포츠

리우가 10번째, 한국축구 올림픽서 쏟아낸 기록들

기사입력 2016.08.02 15:53 / 기사수정 2016.08.04 12:50

조용운 기자


[엑스포츠뉴스 조용운 기자] 한국축구의 첫 올림픽은 1948 런던 대회다. 런던올림픽은 의미가 크다. 4년 전에 열린 런던 대회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을 수확했다. 

2016 리우올림픽도 의미있는 도전의 무대다. 2개 대회 연속 메달 획득에 나서는 리우올림픽은 태극마크를 달고 나서는 통산 10번째 올림픽이다. 

대한축구협회는 리우올림픽에 앞서 지난 9차례의 올림픽 본선 기록을 정리했다. 

▲ 이름이 '이천수'라 골도 2천번째?

1908년 올림픽에서 남자 축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지금까지 올림픽 본선에서 나온 골은 총 2,163골이다. 이중 이천수가 지난 2004 아테네올림픽 8강전에서 파라과이를 상대로 터뜨린 골이 2천번째 골이다. 

▲ 또 만났네 멕시코

리우올림픽에서 멕시코와 같은 조에 묶임으로써 한국은 올림픽 본선에서만 5번째로 멕시코를 만나게 된다. 열번 참가해 다섯번이나 만난다. 1948년, 1996년, 2004년, 2012년 대회에서 맞붙어 한국이 2승2무로 앞서있다. 같은 팀과 상대하는 횟수 5회는 올림픽 본선 전체를 통틀어 공동 2위다. 1위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으로 두 팀은 그동안 여섯 번 맞대결을 했다. 

▲ 최다 실점 불명예는 면했다

1948 런던올림픽 8강전에서 스웨덴에 0-12로 참패한 것은 한국축구가 지금까지 모든 국제경기를 통틀어 당한 최다골차 패배 기록이다. 다행히 올림픽에서는 최다 실점국이 아니다. 1908년 올림픽에서 덴마크가 프랑스를 17-1로 이긴 경기와, 1912년 올림픽에서 독일이 러시아를 16-0으로 이긴 기록이 각각 최다골차 1, 2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 두 번 정도는 참가해야

올림픽에 한번 나가는 것만 해도 운동 선수들에겐 가문의 영광이다. 축구는 23세 이하로 연령이 제한되기 때문에 더더욱 힘들다. 하늘의 별따기인 올림픽에 두 번이나 나간 한국 선수는 모두 10명. 대부분의 선수가 한번은 해당 연령으로, 또 한번은 와일드 카드로 참가했다. 그러나 최태욱, 이천수, 기성용은 와일드카드가 아닌 19세와 23세에 각각 한번씩 참가함으로써 올림픽 2회 출전을 기록했다. 

▲ 최다 출전은 기성용, 최다 득점은 이천수

한국 선수중 올림픽 본선에서 가장 많이 뛴 선수는 기성용과 박주영으로 각각 두 대회(2008 베이징, 2012 런던)에 걸쳐 9경기에 출전했다. 시간으로 보면 기성용이 816분으로, 박주영의 732분보다 많다. 최다 득점은 통산 3골을 기록한 이천수와 박주영이다. 이천수는 7경기, 박주영은 9경기에 출전해 시간당 득점으로는 이천수가 1위다. 



▲ 최연소는 조진호, 최고령은 김용식

한국 선수 중 가장 어린 나이로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는 조진호(현 상주 상무 감독)다. 조진호는 1992 바르셀로나올림픽 첫 경기 당시 만 18세364일이었다. 한국축구의 대부 김용식은 1948 런던올림픽 첫 경기 당시 만 38세8일로 역대 최고령 참가자다. 세계 기록은 지난 런던올림픽에 와일드카드로 참가한 라이언 긱스(영국)의 38세8개월이다. 

▲ 다른 국적으로 올림픽 각각 출전

일제강점기 조선 최고의 선수로 이름을 날린 김용식은 1936 베를린올림픽에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일본 대표로 선발돼 출전했다. 광복 이후 1948 런던올림픽에는 한국 대표팀의 주장으로 참가했다. 

▲ 퇴장 1호는 이천수

지금까지 올림픽 본선에서 한국이 총 30경기를 치르는 동안 퇴장의 불명예도 두 번 있었다. 2000 시드니올림픽 칠레전에서 이천수가 다이렉트로 레드카드를 받아 첫 퇴장을 기록했다. 이어 2004 아테네올림픽 첫 경기 그리스전에서는 수비수 김치곤이 경기 초반 퇴장 당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puyol@xportsnews.com / 사진=대한축구협회 제공

조용운 기자 puyol@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