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01 21:22
연예

'꼬꼬무' 장현성, 박흥숙 최후진술서 읽으며 눈물…핏빛 현대사 [전일야화]

기사입력 2020.11.06 07:10 / 기사수정 2020.11.06 01:40

나금주 기자

[엑스포츠뉴스 나금주 기자] '꼬꼬무' 장현성이 박흥숙 자필 최후진술서를 읽으며 눈물을 보였다.

5일 방송된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는 장현성, 김동현, 김기혁이 등장했다.

이날 장항준, 장도연, 장성규는 이야기 친구 장현성, 김동현, 김기혁에게 1977년 4월 일어났던 살인사건을 밝혔다. 대낮에 쇠망치로 4명을 죽인 사건으로 범인은 23세 박흥숙이었다. 박흥숙은 중학교를 수석으로 입학할 정도로 수재였지만, 수업료를 낼 돈조차 없어서 진학을 포기하고 교과서를 판 돈으로 고향을 떠났다. 박흥숙 가족은 살 집이 없어 무등산 덕산골로 들어갔고, 박흥숙은 가족들이 함께 살 움막집을 직접 만들었다. 그런 상황에서도 박흥숙은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검정고시에 합격, 사법고시를 준비했다.


하지만 1977년 4월 20일, 박흥숙은 사람 4명을 죽인 살인범이 됐다. 장트리오는 "구청직원 7명이 망치를 들고 올라왔다. 망치 부대로 불리는 철거반원들이었다"라고 밝혔다. 당시 무등산이 도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케이블카가 설치될 예정이었고, 광주에서 전국체전이 개최돼 박정희 대통령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박흥숙은 땅굴을 파고 있었다. 박흥숙이 절박한 심정으로 물으니 철거반원들은 땅 밑으로 들어가서 살라고 했다. 철거반원들이 오자 박흥숙은 담담하게 받아들였지만, 그때 한 철거반원이 불을 지르라고 했다. 박흥숙이 지붕으로 가자 철거반원들은 불을 지르지 않겠다며 박흥숙을 설득했지만, 거짓말이었다. 박흥숙 어머니는 지붕으로 돈을 가지러 가려다 실신했다. 박흥숙에게 움막은 집 이상의 의미였다. 뿔뿔이 흩어졌던 여섯 식구가 모인 공간이었다. 여동생은 당시 가족들끼리 처음 모였던 날에 대해 말했고, 이야기 친구들은 안타까워했다.

박흥숙은 철거반원들도 상부의 지시를 따르는 거라며 동생을 달랬고, 대신 다른 집엔 불을 지르지 말아 달라고 부탁했다. 환자, 노인들이 많이 살았기 때문. 하지만 이후 그들의 움막이 불탔고, 박흥숙은 '어떻게 이렇게 개돼지만도 못하게 대하냐. 우리는 이 나라 국민이 아닌 거냐'라고 외치며 달려갔다. 박흥숙은 철거반원들에게 사과하라고 말했지만, 서로 격해졌다. 박흥숙은 자신을 제지하는 철거반원 5명 중 4명을 죽였다. 

장트리오는 "피해자들은 대부분 구청에서 고용한 일용직으로, 생계를 위해 간 거였다"라고 밝혔다. 장현성은 "본인이 결정할 수 있는 권한 밖의 일들 때문에 어렵고 힘든 사람들끼리 부딪칠 때 슬프고 가슴 아픈 거다. 그게 가장 큰 비극인 것 같다"라고 안타까워했고, 장성규는 "생존의 최전선에 놓여 있던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비극적 참사"라고 했다.


사건 후 시청 간부들은 신문사에 '불'이란 단어를 쓰지 말라고 외압을 넣었고, 언론에선 박흥숙을 괴물로 만들었다. 가짜뉴스였다. 장현성은 "써야 하는 사실을 뺀 것도 아니고, 아예 없는 사실로 소설로 만들었다"라며 분노했다. '무등산 타잔' 같은 별명도 언론에서 조작한 것. 당시 철거해야 하는 판자촌이 많아서 사건의 진상이 알려지면 폭동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서울 주택의 32%였다고.

이어 도시경관 미화, 서울 시내 재개발이 본격화된다. 무허가 빈민촌을 철거하고, 서울 외곽에 비어있던 땅으로 강제이주시킨다. 하지만 막상 간 곳은 열악한 상황이었고, 교통편도 없었다. 사람들은 2년 동안 살다 결국 폭발했다. 강제이주대책이 실패한 후 정부는 서울의 인구 분산을 위해 강남을 개발한다. 16년 만에 1,000배가 상승했다고. 이에 재개발이 필요한 판자촌, 빈민촌에 아파트를 짓자는 열풍이 분다. 장트리오는 "있는 사람들에겐 일석이조였지만, 거기가 터전이던 사람들은 갈 데가 없었다. 그들을 강제로 내쫓기 위해 철거용역 깡패를 동원한다"라고 밝혔다. 88올림픽을 앞두고 빈민촌 철거는 절정에 달했고, 쫓겨난 사람들은 땅굴을 파고 살았다고.

장항준은 "옛날부터 최근까지도 있는 사람들한테 이런 사람들은 '보여서도 안 되는 존재'였던 거다"라고 했다. 장트리오와 이야기 친구들은 당시 처참했던 철거 영상을 보며 안타까워했다. 장현성은 "우리의 근현대사, 부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사실은 이분들의 엄청난 고통을 기반으로 세워 올린 탑들이지 않냐.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욕망하고, 탑들의 가격은 천정부지로 오르고, 정말 부끄럽게도 그걸 갖지 못해서 자책하고. 이런 거 보면 산다는 게 뭔지 모르겠다"라고 고백했다. 장항준은 박흥숙 사건이 대한민국 핏빛 현대사, 철거 참사의 시작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장트리오는 박흥숙을 변호하거나 동정하려는 게 아님을 확실히했다. 다만 그가 분노해서 외친 '어떻게 개돼지만도 못하게 취급할 수 있냐'는 말을 생각하며 '지금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을 생각해보자고 했다. 박흥숙은 자필 최후진술서에서 '나의 죄는 죽어 마땅하리다'라고 사죄하면서 '나는 돼지 움막보다도 못한 보잘것없는 집이지만 짓지 않으면 안 되었다. 죄 없이 가난에 떨어야 하는 사람들은 이 나라 국민이 아니란 말인가'라고 했다. 장현성은 최후진술서를 읽으며 눈물을 보였다.

enter@xportsnews.com / 사진 = SBS 방송화면

나금주 기자 nkj@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