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09 02:06
스포츠

프로야구 "마산, 청주경기 계속된다"

기사입력 2007.02.02 07:56 / 기사수정 2007.02.02 07:56

이동현 기자
[엑스포츠뉴스 =이동현]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지난달 31일 제 2차 이사회를 통해 도시 연고 개념을 확인하고, 2009년부터 전면 드래프트를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을 두고 야구계가 크게 술렁이고 있다.

'프로야구 새판짜기'로 표현될만큼 급격한 변화로 평가받고 있는 이번 규약 개정은 각 구단의 유·불리에 따라 찬반 양론이 크게 엇갈리고 있어 향후 한국 프로야구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도시 연고제의 개념과 전면 드래프트 이후 예상되는 변화를 문답식으로 풀어 봤다.

- KBO 이사회에서 개정하기로 합의된 내용은 규약의 어느 대목인가.

도시 연고제에 대한 내용은 개정되지 않았다. 이미 야구 규약 제 18조에는 각 팀의 연고지를 도시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신인 1차 지명을 할 때만 광역 연고를 인정하는 이중적인 규약 적용을 없애겠다는 뜻으로 KBO는 '도시 연고제를 확인했다'는 표현을 사용했다.

신인 1차지명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조항은 규약 제 108조다.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무려 아홉 차례나 개정 작업을 거친 제 108조는 2009년부터 효력을 잃게 된다. 2008년까지는 구단별로 1명씩 광역 연고 지역 내에서 1차 지명권을 행사한다.

- 현대 구단이 유지 또는 다른 기업에 인수된다면 신인 지명은 어떻게 하나.

2년 동안은 여지껏 해왔던 것처럼 1차 지명권을 갖지 못한다. 현대는 인천 연고를 양보하는 대가로 SK에게 받았던 54억원을 두산, LG에게 지급하지 않은 채 구단 운영비로 써 버렸다. 문서상으로 현대는 서울팀이지만 서울 지역 1차 지명권은 갖고 있지 않다.

하지만 현대는 2년만 기다리면 다른 구단과 동일한 신인 지명 권리를 갖게 된다. 전면 드래프트가 시행되는 2009년부터는 모든 구단의 연고지 선수 지명 우선권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 도시 연고제가 시행되면 야구단의 연고지 이전이 자유로워지나.

광역 연고제와 비교할 때 훨씬 수월해진다. 남한 전체를 일곱 구역으로 쪼개서 1차 지명권을 행사하던 기존의 방식에서는 해당 구단의 광역 연고지 내에서만 제한적인 이동이 가능했다.

그러나 도시 연고제 본격 시행에 따라 각 구단은 다른 구단이 점유하고 있는 도시가 아니라면 어느 도시든 선택하여 옮길 수 있다. 단, 연고지 변경을 원하는 경우 전년도 10월 31일까지 구단주 총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 각 팀의 연고지가 하나의 도시로 한정되면 마산, 청주 등 보조 홈구장에서는 경기가 열리지 않나.

마산과 청주의 야구팬들도 계속해서 프로야구를 볼 수 있다. 규약 제 21조 '홈 게임의 최저수' 항목에는 연고지 내에서 80%이상의 홈경기를 치르면 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롯데는 51경기 이상을 부산 광역시 내의 구장에서 치르면 나머지 경기는 프로 야구단이 없는 어느 도시에서든 열 수 있다. 한화도 대전 구장에서 51경기 이상만 채우면 된다.

롯데나 한화의 입장에서 봐도 규약상으로는 도시 연고제를 따르더라도 인접 지역 야구팬들에게 어필한다는 마케팅적 측면에서 보조 홈구장 경기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 이번 규약 개정을 통해 새 구단의 창단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나.

현재로서는 제 9,10구단의 창단은 요원한 문제다.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는 수도권 팀마저도 인수하겠다는 기업이 없어 해체 위기를 맞고 있다.

하지만 이번 규약 개정은 향후 상황이 바뀌어 프로야구 참가를 원하는 기업이 나타날 때를 대비한 포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빙그레(1985년), SK(2000년) 등 새로운 참가자에게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던 구단들의 행태를 감안할 때 손님이 찾아온 후 문을 여는 것보다 문을 열어 두고 손님을 기다리는 편이 낫다는 판단을 KBO에서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동현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