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최종편집일 2024-06-05 16:46
연예

[종합] "연기 아닌 진심"…'우리말 지킴이' 유해진X윤계상의 '말모이'

기사입력 2018.12.03 11:59 / 기사수정 2018.12.03 11:59

김선우 기자


[엑스포츠뉴스 김선우 기자] 배우 유해진과 윤계상이 '소수의견' 이후 3년만에 '말모이'로 재회했다.

3일 서울 광진구 자양동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영화 '말모이'(감독 엄유나) 제작보고회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배우 유해진, 윤계상, 우현, 김태훈, 김선영, 민진웅, 엄유나 감독이 참석했다.

'말모이'는 우리말 사용이 금지된 1940년대, 까막눈 판수(유해진 분)가 조선어학회대표 정환(윤계상)을 만나 사전을 만들기 위해 비밀리에 전국의 우리말과 마음까지 모으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

엄유나 감독은 "'말모이'는 말을 모은다는 뜻이다. 주시경 선생님이 일본이 우리 말과 글을 빼앗을 것을 대비해 사전을 만들었다. 최초의 우리말 사전 제목이 말모이였다"라며 "돌아가신 뒤에 조선어학회가 사전 작업을 다시 하기 시작했는데 그걸 말모이라고 불렀다. 전국 사람들이 함께한게 감동적이어서 영화 제목도 말모이라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유해진은 "한글에 있어서 까막눈인 역할이다. 시나리오를 읽을때 우리말이 소중하게 지켜졌구나 느꼈다. 지켜왔던 분들의 아름다운 모습을 봤다. 순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다. 그런면이 끌렸다"라고 이야기했다.

윤계상도 "잘 모르고 지나갈 수 있는데 영화를 통해서 쉽게 보여지는게 좋은 기회이지 않나 싶었다. 사명감이 생겼다"라며 "연기라기보다 진짜이길 소망하며 연기햇다. 그랬더니 조금이나마 그때 그 시절 우리나라를 위해 애썼던 분들의 마음이 느껴졌다. 촬영기간 내내 마음 앓이를 했다"라고 덧붙였다.

엄 감독은 "일제강점기라고 하면 우리나라를 위해 애쓴 위대한 영웅을 떠올리기 쉬운데 우리나라 말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수많은 이름없는 사람들이 함께 사전을 만들었다는게 매력적이었다"라며 "그래서 영화화했다. 지금도 역사라는게 작은 일들이 모여 큰일을 만든다. 동시대에도 시의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영화로 만들게 됐다"라고 말했다.



한편 유해진과 윤계상은 '소수의견' 이후 오랜만에 다시 만났다. 유해진은 "워낙 편했어서 이번에도 편했다. 쓸데없는 에너지를 쏟지 않아도 돼서 좋다. 드립커피 같은 매력을 가진 배우다"라고 말했다. 윤계상은 "유해진은 배우로서 존경하는 분이다. 함께해서 좋았다"라고 덧붙였다.

배우들은 '말모이' 출연 이후 우리말에 대한 생각도 변화했다고. 유해진은 "현장에서 사진을 찍을때도 '화이팅'이 아닌 '힘내자'라고 말했다. 이렇게 노력했다. 조금씩 변화가 생겼던거 같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김태훈도 "현장에서 외래어를 쓰면 벌점내기를 했었다. 캐릭터라는 말이 쉽게 나오는데 역할이라고 하려고 노력했다. 그렇게 당연하게 쓰는 말들이 많은데 어렵게 아름답게 지켜진 말들이고 하니까 더 좋다고 생각하게 됐다. 앞으로도 유념해야겠다 생각했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엄유나 감독은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모여서 만든 작품이다. 고생도 많이 했는데 좋게 봐주셨으면 좋겠다"라고 이야기했다.

우현은 "말을 모은 영화다. 이제는 사람이 모일 영화다", 윤계상은 "꼭 많은 분들이 봐주셨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2019년 1월 9일 개봉.

sunwoo617@xportsnews.com / 사진 = 서예진 기자



김선우 기자 sunwoo617@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 뉴스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